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

성장기 아이 척추 옆굽음증(척추측만증) 꼭 검사해보세요!! 청소년 척추측만증(척추 옆굽음증) 증상 원인 운동

by ptSTAR 2023. 12. 20.

이번에는 성장기 아이 청소년 두통의 원인 중 하나인 척추측만증 즉 척추 옆굽음증에 대해 알아볼게요.

지금 내 모습, 내 아이, 우리 가족이 어떤 자세로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옆으로 소파 팔걸이를 배개삼아 누워 있는 남편

목이 거북이처럼 나온 상태로 의자에 걸터앉은 아이, 비스듬히 반 누운 자세로 침대에 앉아 있는 나!!

그중에서 성장기 아이들이 공부할 때 자세나 게임할 때, 스마트 폰 할 때 자세를 눈여겨 살펴보세요.

 

 

척추측만증 (척추 옆굽음증)이란??

 척추측만증이란 환자의 척추를 보았을 때 척추가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 한쪽은 불룩하게 튀어나오고 반대쪽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기형을 말하는 것으로 형태에 따라 C형과 S형이 있습니다.

사람의 척추에는 curve (만곡)이 있는데 만곡이란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굽은 상태'를 뜻하는 말로

척추에서는 만곡이 반드시 비정상적인 것은 아닙니다.

 

정상적인 사람의 척추 만곡이라면

서 있는 사람을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 목은 앞쪽으로 굽은 C만곡을, 흉추를 그 반대인 D 커브, 허리 부분인 요추는 다시 C커브, 꼬리뼈는 다시 반대인 D커브로 되어 있습니다.

 

위치에 마다 커브의 각도는 일정하지 않고 다르며, 척추에서 커브가 있는 이유는 체중 분산과 각종 기관을 보호하기 위한  해부학적 기능적인 위치를 가지는 겁니다.

 

척추측만증 Scoliosis이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이 아닌 척추가 옆으로 휜 비정상적인 커브인 경우로 척추 변형 중 하나에 포함됩니다.

 

정상적인 척추 구조 척추측만증
정상적인 척추 구조와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의 분류

척추측만증은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척추가 옆으로 휜 것이 일시적인 변화인지, 영구적인 변화인지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일시적으로 휜 상태 : 비구조성 측만증

 비구조성 측만증은 다리 길이의 차이 또는 허리 디스크에 의한 통증 등이 원인이 되어 척추가 구조적인 변화 없이 일시적으로 옆으로 휜상태를 말합니다.

근본적인 원인 즉, 다리나 허리의 치료를 하면 척추가 똑바로 펴지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측만증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비구조성 측만증의 원인은

한쪽 하지의 짦아짐, 흉곽의 기형, 골반과 골반주위 관절의 기형, 고관절통, 선천성 탈구, 하지의 기형, 사경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성장기 척추측만증
성장기 척추측만증

 

* 영구적으로 휜 상태 : 구조성 측만증

 구조성 측만증은 진정한 의미의 척추측만증으로 척추의 구조적 변화에 의해 척추가 영구적으로 옆으로 휜 상태를 말합니다.

 

구조성 측만증과 비구조성 측만증의 가장 큰 차이는 척추뼈가 비정상적으로 회전되었는가에 있습니다. 

구조성 측만증에서는 척추뼈가 회전되어 있는 반면, 비구조성 측만증에서는 척추뼈 회전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 구조적 척추측만증

① 특발성 : 원인을 밝히지 못하는 측만증

② 선천성 : 태어날 때 척추병에 기형이 있어 생기는 측만증

③ 신경근육성 : 신경 질환이나 근육 질환에 의하여 생기는 측만증

④ 기타 질환 : 말판(Marfan)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골형성부전증 등의 질환에 동반되는 측만증

 

구조적 척추측만증 중 선천성 측만증은 태어날 때 척추뼈가 기형적으로 잘못 생겨서 나타나는 측만증으로 일단 기형이 발견되면 4~6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 진찰을 받아야 하고, 기형이 단시간 내에 빨리 증가한다고 판단되면 서둘러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합니다.

 

 

원인

척추측만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1. 유전적 요인

2. 멜라토닌

  멜라토닌이 뇌에서 만들어지는 물질로 멜라토닌이 생성 되지 않으면 척추가 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동물 실험에서 발견되었습니다.

 

3. 근육 질환

뇌성 마비, 소아마비, 사지 마비 등의 신경 질환과 근무력증 등의 근육 질환에서도 측만증이 생겨날 수 있는데 이를 신경근육성 측만증이라고 합니다.

 

4. 퇴행성 변화

 60~70대 노년층에서도 노인성(퇴행성) 변화로 척추가 옆으로 휘는 경우를 퇴행성 측만증이라 부릅니다.

 

5. 기타

 

청소년의 특발성 측만증

특발성 측만증은 10세 전후에 부모에 의해 또는 학교 신체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연령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되는데

* 유아형(infantile) : 3세 이전 발생

* 어린이(juvenile) 형 : 3 ~ 9세에 발생

* 청소년(adolesent) 형 : 10세 이후 발생

 

청소년 특발성 측만증도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질병으로

무거운 책가방,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없어요.

 

증상

척추측만증은 주로 체형 이상으로 인해 발견됩니다.

거울을 보다 자신의 좌우 어깨 높이가 다르거나, 옷이 한쪽 어깨 쪽으로만 흘러내린다거나, 유방의 크기가 서로 다르거나, 등과 허리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 튀어나온 것을 보고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

 

진단

1. 문진

환자와 보호자와 대화를 통해 질병의 양상 및 경과를 알아보는 과정으로 성장 중인 환자는 측만증이 계속 커질 가능성이 큰 반면, 성장이 끝난 환자는 측만증 진행 가능성이 낮습니다.

 

2. 진찰

의사는 환자의 체형을 평가, 신경학적 검사 등으로 이상 유무를 파악하며

가장 쉬운 검사 방법은

환자의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게 하는 전방 굴곡 검사를 통해 한쪽 등이나 허리가 비대칭적으로 반대쪽 보다 더 튀어나와 있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집에서 부모님도 하실 수 있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척추 측만증 진찰
척추측만증 진찰

 

3. X-RAY 검사

척추 측만증 진단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로

X-RAY 검사를 통해 측만증의 각도를 측정하는데 Cobb 콥 방법을 이용해 얼마나 척추가 휘었는지 콥 각도를 측정하여 진단을 하는 방법입니다.

 

4. 정밀검사

 MRI 검사와 같은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치료

측만증의 치료는 측만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크게 관찰, 보조기 착용, 수술적 치료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비구조성 측만증의 치료

비구조성 측만증의 치료는 다양한 체조를 하는 운동 치료를 하는데 원인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과 신장운동(스트레칭 등)으로 구성되는데 늘어난 근육에는 근력 강화를, 척추가 굽어져 근육이 짧아진 부분은 근육을 늘려주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운동 치료는 척추 측만증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2. 구조성 측만증의 치료

척추 측만증 만곡이 크지 않은 40도 미만의 환자는 만곡이 더 커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보조기 치료를

만곡이 큰 45~55도 이상의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이용해 만곡을 작게 만들어 줍니다.

 

3. 성장 중인 환자와 성장이 끝난 환자의 치료

* 성장과정에 있는 20도 미만의 만곡을 가진 환자는 정기적으로 진찰하면서 만곡이 더 이상 커지지 않는지를 관찰합니다.

* 성장이 끝난 40도 미만의 만곡을 가진 환자는 보조기 치료의 대상도 되지 않고 수술의 대상도 되지 않습니다, 관찰 과정에서 각도가 40도 이상으로 커지면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경과

척추측만증의 치료가 필요할 만큼 만곡의 각도가 큰 경우 특히 60~80도 이상의 큰 만곡을 가진 경우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를 한다면

* 심폐 기능의 장해

* 나이 들어서 생기는 허리 통증 

* 정신적 문제

* 만곡이 더 커지는 문제

* 척추측만증과 성장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 측만증의 원인은 정확하지 않지만 잘못된 자세로 인해 근육과 척추들이 영향을 받아 정상적인 정렬에서 벗어나 통증을 발생시키고 그로 인해 온몸의 정렬이 틀어져 척추 측만증까지는 아니지만 거북목이나 요통이 발생할 수 있어요.

스마트폰을 보거나, 티비를 볼 때, 책상에 앉을 때는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게 중요합니다.

 

 

2023.12.17 - [분류 전체보기] - 거북목 방치하면 안돼요!! 거북목 증후군 원인과 치료 예방

 

거북목 방치하면 안돼요!! 거북목 증후군 원인과 치료 예방

지금 스마트 폰 보고 계신가요?? 컴퓨터 모니터 보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지금 자세는 어때요?? 내 몸이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을 향해 마중 나가고 있지 않나요?? 이렇게 잘못된 자세로 한동

ptmuscle.tistory.com